HTTP
- Hyper Text Transfer Protocol의 약어
- WWW 서버와 WWW 클라이언트 간의 통신을 수행하는 데 사용하는 네트워크 프로토콜
- WWW 서버로부터 정보를 취득할 때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해 통신한다.
- HTTP는 달라고 요청된 데이터에 데이터 속성(정적 이미지, 텍스트 등)을 헤더로 붙여 반환한다.
- 일반적으로 80번 통신 포트 사용
- HTTP에 의한 파일 전송은 요청에 대한 응답을 처리한 후 연결이 끊어지므로 여러 페이지에 걸쳐 처리해야 할 경우 페이지 간 정보를 유지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었지만,
- HTTP 1.1에서 연결을 끊지 않은 채 여러 요청을 계속 수행할 수 있도록 기능이 확장되었다.
- HTTP/2는 하나의 연결 내 동시에 여러 개를 요청할 수 있도록 하는 등 효율성을 높이고 있다.
SMTP
- Simple Mail Transfer Protocol의 약어
- 전자 메일을 보내는 데(송신) 사용되는 네트워크 프로토콜
- 일반적으로 25번 포트 사용
- SMTP를 지원하는 서버는 SMTP 서버라고 한다.
- 전자 메일을 보내면 보낸 사람의 STMP 서버로 데이터가 발송되고, 거기서는 SMTP 서버에서 대상 메일 서버로 전송되어 받는 사람의 메일 박스에 저장된다.
- 이때 SMTP의 역할은 상대 메일 서버에 전달하는 것까지다.
POP
- Post Office Protocol의 약어
- 인터넷 메일 수신에 사용되는 네트워크 프로토콜
- 일반적으로 110번 포트 사용
- 메일 서버에 접속해 전송된 전자 메일을 자신의 메일 박스로 받기 위한 프로토콜이다.
- 기본적으로 열람하는 데이터를 모두 다운로드하여 서버에 남기지 않는다. 따라서 한번 수신한 전자 메일은 인터넷에 연결하지 않아도 읽을 수 있다.
IMAP
- Internet Message Access Protocol의 약어
- 수신한 인터넷 메일을 서버에서 가져오는 네트워크 프로토콜
- 일반적으로 143번 포트 사용
- 현재 IMAP4 버전
- POP와 동일하게 메일을 가져오기 위한 수신용 프로토콜이지만 근본적인 개념과 데이터를 보존하는 장소에 차이가 있다.
- POP
- 수신 메일을 다운로드하기 위한 프로토콜로, 서버에 데이터를 남기지 않음
- 여러 컴퓨터에서 같은 데이터를 공유하는 것이 어려움, ex) 회사 컴퓨터에서 받은 전자 메일을 집 컴퓨터에서 볼 수 없음
- IMAP
- POP와 달리 모든 송수신 데이터를 서버에서 관리
- 해당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전자 메일 소프트웨어만 있으면 어느 컴퓨터에서도 같은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음
- POP
NNTP
- Network News Transfer Protocol
- 인터넷상의 전자 회의실 시스템인 유즈넷에 사용되는 프로토콜
- 일반적으로 119번 포트 사용
- 게시물 배포, 게시물 접수, 뉴스 서버간의 게시물 교환에 이용된다.
- 뉴스 서버는 게시물을 받으면 그 내용을 인접한 뉴스 서버에도 전달한다. 이때 무조건 전달하는 것은 아니고 상대 뉴스 서버가 그 게시물을 가지고 있지 않은 경우에만 전달한다.
FTP
- File Transfer Protocol
- 서버와 클라이언트라는 두 컴퓨터 간에 파일을 전송하기 위한 네트워크 프로토콜
- 일반적으로 데이터 제어용으로 21번, 전송용으로 20번 포트 사용
- 파일 다운로드, 업로드 외에 파일의 권한 변경이나 디렉터리 작성 등 다양한 조작을 할 수 있다.
- 특징
- FTP에 의한 파일 전송은 사용자 인증부터 시작해 인증에 성공한 사용자는 FTP 명령을 사용해 다양한 조작이 가능하다.
- 사용자 인증을 통해 사용자별로 세세한 권한을 설정할 수 있다.
예) 특정 사용자는 참조만 가능하게 하거나, 특정 폴더는 일부 사용자만 참조할 수 있도록 서버에서 제한 가능
- FTP로 파일 전송 시 ASCII 모드와 바이너리 모드라는 두가지 모드 존재
- ASCII 모드 : 주로 텍스트 파일 전송에 사용하는 모드로, 파일 내 개행 코드를 전송할 시스템에 맞는 형태로 변환
- 바이너리 모드 : 어떠한 변환도 하지 않는 모드로, 프로그램의 실행 파일이나 동영상 파일 등과 같이 파일 내용이 변경되면 안되는 데이터를 전송할 때 사용
SSL
- Secure Sockets Layer
- 인터넷에서 안전하게 정보를 교환하기 위해 사용하는 암호화 프로토콜
- 서로를 인증시켜 도용을 방지하고, 통신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데이터의 도청이나 조작을 방지하는 등 안전한 통신을 보장한다.
- OSI 참조 모델에 전송 계층과 응용 계층 사이에 위치한다.
HTTPS
- Hyper Text Transfer Protocol over SSL
- WWW 서비스로 서버와의 통신에 사용되는 프로토콜인 HTTP에 SSL에 의한 암호화 통신을 추가한 프로토콜
- WWW 서버와 웹 브라우저 간 통신이 암호화되어 신용카드 번호나 개인정보 등을 안전하게 교환할 수 있다.
NTP
- Network Time Protocol
- 인터넷에서 표준으로 사용되는 시간 정보 프로토콜
- 네트워크에 있는 컴퓨터 시각을 동기화 하는데 사용
- NTP 서버는 계층 구조로 되어 있으며, Stratum 1부터 Stratum2, 3 ... 순서대로 15단계까지 계층화할 수 있다.
MIME
- Multipurpost Internet Mail Extensions
- 전자 메일은 원래 ASCII 문자만 처리할 수 있다. 그래서 한국어 같은 멀티 바이트 문자나 화상 데이터 등의 파일을 첨부할 수 있도록 확장한 규격이 MIME이다.
- 전자 메일은 ASCII 문자밖에 취급할 수 없어 MIME은 데이터를 ASCII 문자로 변환해 본문에 붙여 넣는다.
이때 그대로 변환하면 본래 문장과 구별이 어려워 메일을 여러 부분으로 나누어 어떤 데이터인지 종류를 기입한다. - S/MIME은 MIME에 암호화나 전자 서명의 기능을 추가한 규격이다.
ICMP
- 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
- TCP/IP의 패킷 전송에서 발생한 각종 에러 정보를 보고하기 위해 사용하는 네트워크 프로토콜
- 통신 중 에러가 발생하면 ICMP는 에러가 발생한 곳에서 패킷의 발송지로 에러 정보를 거꾸로 전송한다. 따라서 네트워크에서 발생한 오류 내용을 알 수 있다.
- ICMP를 이용한 네트워크 확인 명령어
- ping : 네트워크의 소통을 확인하기 위한 명령어, 패킷이 잘 도착하고 응답이 이뤄졌는지 확인한다.
- traceroute : 네트워크 경로를 조사하기 위한 명령어, 원하는 컴퓨터에 도착할 때까지 어떤 라우터를 경유하는지 정보를 알 수 있다.
HTML
- Hyper Text Markup Language
- 인터넷에서 널리 사용되는 WWW용 문서를 작성하는 언어
- 문서에 링크를 설정해 문서끼리 서로 연결이 가능하다.
- HTML 형식은 태그라는 예약어를 텍스트 파일에 넣어서 문서의 모양과 논리 구조를 지정한다.
- 예) <h1>, <dev>, <span>
CSS
- Cascading Style Sheets
- HTML로 작성된 문서의 레이아웃 같은 모양을 정의하는 언어
- CSS 등장으로 문서와 레이아웃의 정의가 분리
- 폰트, 색, 배경 등 다양한 속성을 지정할 수 있다.
- 시각적인 표현을 CSS로 분리해 같은 HTML 문서라도 다양한 형태로 표현 가능하다.
XML
- eXtensible Markup Language
- HTML 같은 마크업 언어로, 태그를 사용해 문서 구조를 표현한다.
- XML vs HTML 차이점
- HTML은 문서 구조 + 문서 모양을 표현하는 태그를 사용해 CSS 같은 스타일 시트 언어가 따로 없어도 된다.
- XML은 문서 모양을 표현하는 태그가 없고, 단지 문서 구조 및 데이터의 속성을 표현하기 위한 태그만을 사용해 CSS 같은 스타일 시트 언어가 필수적이다.
- XML은 데이터 자체를 표현하는데 특화된 언어이다.
- 태그를 고유하게 정의해 데이터의 속성을 세밀하게 표현할 수 있다.
JavaScript
- 스크립팅 언어의 일종
- HTML 파일에 프로그램을 작성하면 웹 사이트에 동적 효과(메뉴 조작, 입력, 체크같은 움직임)를 줄 수 있다.
- 스크립팅 언어는 간단한 프로그래밍 언어라고 불리며, 복잡한 절차 없이 작성한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.
CMS
- Contents Management System의 약어
- 웹 사이트를 구축, 운용하기 위해 필요한 도구들이 패키지화된 웹 시스템
- 블로그 작성도구로 이용된다.
- 이전 웹 사이트 구축 시 콘텐츠와 사이트 구성이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으므로, 전문지식이 필요하고 구성을 유연하게 변경할 수 없었지만, CMS를 사용하면 콘텐츠의 입력 및 관리와 웹 사이트에서 보이는 부분의 처리까지 시스템이 관리해준다.
쿠키
- 웹 브라우저와 WWW 서버 간에 암묵적인 정보 교환을 실시하기 위한 장치
- 쿠키 사용 시 클라이언트에 대한 고유 정보를 기억하고 웹 사이트를 개인화 할 수 있다.
→ 주로 사용자를 식별하는 것을 목적으로 이용 - WWW 서버의 지시에 따라 웹 브라우저가 클라이언트 컴퓨터에 쿠키를 저장하고, 쿠키에 의해 저장된 정보는 액세스한 URL이 쿠키의 정보와 일치할 경우 자동으로 WWW 서버로 전송된다.
- 하지만 쿠키가 저장하는 정보는 암호화되지 않아 클라이언트 컴퓨터에서 쉽게 변조할 수 있어 보안에 관련된 정보를 쿠키로 저장하는 것은 매우 위험하다.
RSS
- Resource Description Framework Site Summary
- 웹 사이트의 제목이나 내용을 간단히 요약해 배포하기 위한 포맷
- 주로 업데이트 정보를 공개하는 데 사용된다.
- RSS 리더라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해 RSS 정보를 취득하고 갱신 정보를 참조한다.
Dynamic DNS
- 자신이 소유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 정보가 변경되면 즉시 통지하거나 변경 부분만 전송하는 기능이 있는 DNS
- 갱신이 반영될 때까지 3일 정도 시간이 필요한 일반 DNS와 달리 변경 사항을 곧바로 통지하기 때문에 변경 사항이 전 세계에 즉시 반영된다.
- Dynamic DNS를 이용한 서브 도메인 발행 서비스를 이용하면, ADSL과 같이 IP 주소가 변하는 환경에서도 고정 도메인 이름을 사용하기 때문에 외부에서 엑세스가 가능하다.
클라우드
- 인터넷을 구름(cloud)에 빗대어 표현한 것으로, 네트워크 관리를 신경 쓰지 않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클라우드 컴퓨팅의 약칭이다.
- 데이터와 소프트웨어를 내 컴퓨터가 아닌 구름(인터넷)에 있는 서버가 관리하고,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여기에 접속해 사용하는 서비스 형태를 나타낸다. 예) 웹 메일 서비스(Gmail)
- 접속 환경만 갖추면 클라우드형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으며, 도입 비용이 저렴하고 데이터 관리나 백업은 기본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쪽에서 알아서 해준다는 장점이 있다.
Reference
기타미 류지 ⌜그림으로 이해하는 네트워크 용어⌟
'💻 Computer Science > 네트워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HTTP의 GET과 POST (0) | 2024.02.19 |
---|---|
[Network] 인터넷 기초 (0) | 2023.02.22 |
[Network] 서비스와 프로토콜 (0) | 2023.02.15 |
[Network] 하드웨어 (0) | 2023.02.03 |
[Network] 광역 통신망 (2) | 2023.01.28 |
[Network] 근거리 통신망 (0) | 2023.01.17 |
[Network] OSI 참조 모델, TCP/IP (0) | 2023.01.06 |
[Network] 네트워크 개론 (0) | 2023.01.04 |